쏘렌토 하이브리드 배터리팩 구성 분석

안녕하세요 EV9 배터리 팩 분석에 이어 ‘쏘렌토 하이브리드 배터리팩’ 내부를 살펴보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쏘렌토 하이브리드 배터리팩 스펙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 되어있는 스펙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 배터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출력 강도’에 있습니다. 이유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보다 더 잦은 충,방전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짧은 시간안에 높은 C-rate를 … Read more

EV9 배터리팩 구성 분석

EV9 배터리팩 내부를 살펴보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EV9 배터리팩 스펙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되어있는 스펙만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행 가능 거리는 ‘501km’ 라고 공시되어 있습니다. 물론 주변 날씨에 의한 온도와, 주행 스타일에 편차가 많이 존재 하겠지만 배터리 밀도는 앞선 제품들보다 높아진 것 같습니다. 배터리 전압대를 확인해보니 1셀 당 약 3.6V로 계산이 … Read more

정우인버터3000W 순수 정현파(정우엔지니어링) 사용 분석

이번 시간에는 정우엔지니어링의 ‘정우인버터3000W’ 순수 정현파 사용 분석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마찬가지로 부하를 점차 늘려가며 최종 출력 전압 강하 정도와 그때의 파형 확인하며 분석 해보겠습니다. 1. 기본사양 홈페이지를 아무리 뒤져봐도 스펙시트가 보이지 않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입력 전압은 12V라 쓰여있으니 다른 인버터들과 마찬가지로 ‘NCM 4S’ 만충 기준 16.8V와 기존 다른 인버터와 마찬가지로 약 18V까지는 커버가 가능할 … Read more

벨류텍 인버터 VIP-3000(순수 정현파) 사용 분석

이번 시간에는 벨류텍 인버터 VIP-3000(순수 정현파) 사용 분석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마찬가지로 부하를 점차 늘려가며 최종 출력 전압 강하 정도와 그때의 파형 확인하며 분석 해보겠습니다. 1. 기본사양 VIP 시리즈 기본 사양은 아래와 같으며 저는 보유중인 ‘VIP-3000’을 가지고 테스트를 진행 하겠습니다. VIP 시리즈의 경우 시동전력이 굉장히 높고 24V까지의 입력 전압을 허용 하고있습니다. 높은 용량의 캐패시터가 적용되어 … Read more

다르다 인버터 DP-3000AQ (유사 계단파) 사용 분석

이번 시간에는 다르다 인버터 DP-3000AQ (유사 계단파) 사용 분석 시간을 가져 보았습니다. 부하를 점차 늘려가며 최종 출력 전압 강하 정도와 그때의 파형을 확인하며 분석 해보겠습니다. 전압 강하 정도가 약하면서 파형이 잘 잡힐수록 성능이 좋은 인버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 기본 사양 기본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희는 세번쨰 ‘DP-3000QA’ 라인 사양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2. 실험 준비 및 … Read more

3.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제작_BMS 분석(2)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은 지난번 분석 하였던 ‘Slave BMS’ 에서 주요 IC인 ‘Stack Monitor IC’ 동작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실험 계획은 아래와 같이   1. 먼저 ‘Slave BMS’위 5개의 셀 정보 취득 부분중 3번째 부분과 제가 준비한 셀을 연결 하였습니다.     2. 기존 마이컴을 제거하고 ST사의 ‘STM32F334C8T6’이 내장되어있는 개발보드를 이용하여 셀 정보를 취득 하였습니다. 3. Stack … Read more

GSP 인산철 시동 배터리 ‘스마트 엑스파워(100A)’

지에스피 시동배터리 분해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은 ‘GSP 인산철 시동 배터리(100A)’ 제품군인 ‘스마트 엑스파워’를 분해 분석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마트 엑스파워 (100A) 지에스피(GSP)사의 ‘지에스피 배터리 스마트 엑스파워’ 이며 기본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시동 배터리 Specsheet 시동 배터리임으로 가장 눈에 띄는 스펙은 800A의 ‘CCA(Cold Cracking Ampere, 저온시동전류)’ 입니다. ‘CCA : -18℃의 조건에서 방전 전압이 7.2V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약 … Read more

2.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제작_BMS 분석 편

이번 주는 저번 시간에 분리했던 Slave BMS를 역설계 하기 위한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크게 중요한 부분만 하이라이트 해보았습니다. 외부에 똑같이 생긴 또다른 Slave PCB와 Master PCB가 서로 ‘CAN통신’으로 묶여 있었고 다 같이 24V 입력 전원을 받고 있었습니다. 왼쪽 편에서 필요한 전압 강하와 통신 및 릴레이 컨트롤이 이루어지고, 오른쪽 5칸에서 각각 (12개, 12개, 11개, 11개, 11개)의 셀과 … Read more

1.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제작_배터리 팩 분석 편

안녕하세요, 배터리 엔지니어 입니다. 중국 배터리 팩 하나를 분해하여 분석하고, BMS를 역설계 하는 과정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시간으로 배터리 팩을 분해하여 배터리 팩은 어떤 식으로 구성 되어있는지 확인 해보겠습니다. 먼저 분석 하고자 하는 배터리의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터리 팩이 따로 있고 입출력 및 외부 통신 포트가 있는 PDU(Power Distribution Unit)가 따로 있는 … Read more